이성적인 판단 vs 몸이하는

10년에 한번 걸릴까 말까 하는 몸살 감기가 올려고 한다.

‘줄서 독서실&스터디카페’ 하기 전에는

감기몸살이 오거나 말거나 신경쓰지 않았다.

그냥 개무시하고 놔두면 혼자 그냥 사라졌다.

하지만 ‘줄서 독서실&스터디카페’를 운영한 이후로는

아주 사소한 몸의 변화에도 사전예방이 중요해졌다.

매일 24시까지 ‘줄서 독서실&스터디카페’를 지켜야 하기에

컨디션이 아주 중요해졌다.

그냥 놔둘까 하다가 더 안좋아지면 곤란할 것 같아

태어나서 처음으로 편의점가서 몸살감기약을 샀다.

몸살감기약과 쌍화탕 한병을 사가지고 나오는데

몸이 말을 걸었다.

“쏘주가 마시고 싶다”고.

이거시 뭔 씨추에이션이여?

편의점을 나와서 문앞에서 한참을 머뭇거렷다.

몸 상태가 이런데 왜 몸이 술을 요구하지?

더군다나 지금 시각이 23:30분인데?

이성은 안된다고 하는데 몸은 자꾸 술을 요구했다.

어떡한다?

술을 살까 말까 한참을 망설이다가

몸이 하는 말을 듣기로 했다.

다시 들어가서 쏘주를 한병 샀다.

‘줄서 독서실&스터디카페’로 돌아와 마무리를 하고

푸드룸에서 일전에 알바하는 학생이 준 닭발을 덥히고,

마늘 짱아치를 꺼낸 후 종이컵에 2/3를 채워 한잔했다.

속이 시원했다.

안주를 한점 먹고 다시 2/3컵을 마셨다.

속이 조금 누그러지는 기분이었다.

다시 안주를 한점 하고 이번에 1/2컵만 따랐다.

몸이 그렇게 하라고 시켰다.

이렇게 서서 15분정도에 걸쳐서 한병을 마시고 나니

몸이 훈훈해지면서 감기가 떨어져 나가는 것 같았다.

진짜 떨어져 나가는 건가?

술기운인가?

시한부 환자들이 마지막으로 가는 요양병원이 있는데

그곳에 가면 마약성분의 강력한 진통제를 거의 매일 주사해 준다지.

그래서 낼 모래 죽을 환자들도 면회가면 이런다지.

“저 거의 다 나았어요. 요즘 컨디션 엄청 좋아요”

“조만간 퇴원해도 될 것 같아요”

마약성분 때문인지 모르고 그런 소리하는 거지.

그러다가 그 다음날 죽는다지.

내일 아침에 일어나 보면 알겠지.

진짜 떨어져 나간건지,

아님 술기운 때문이었는지를.

그리고 앞으로는 이번을 반면교사 삼으면 되겠지.

몸이 하는 말을 들어야 하는지,

이성적인 판단을 해야 하는지를.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