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킬러문항 없다…EBS 500% 연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올해 11월 13일에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시행 기본 계획을 발표했다.

요점은,

“킬러 문항 없고,

EBS 연계율을 50% 유지하고,

문·이과 통합형 체제 역시 유지하고,

학교 교육을 성실히 이수한 학생이라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도록 문제를 출제하고,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은 배제하고

적정 수준의 변별력을 유지하겠다”이다.

근데 드는 의문 하나,

발표 내용만 보면 이렇게 명확하고 좋은데

왜 수능만 끝나고나면 나라가 이리도 시끄러울까?

거참 이상하단 말야….

정부가 11월 1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킬러(초고난도) 문항을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수능 문제와 EBS 연계율을 예년처럼 50% 수준으로 유지하고

EBS 교재에 포함된 도표와 그림, 지문 등을 활용해

체감 연계율을 높일 방침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2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오승걸 평가원장은 이날 “공교육 범위를 벗어나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소위 ‘킬러 문항’을 출제에서 배제하겠다”며

“이를 점검하는 현장 교사 중심의

수능출제점검위원회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수능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나눠 시행된다.

2022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체제 역시 유지된다.

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에서는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

사회·과학 탐구영역은 사회 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한국사 영역은 올해도 필수로 지정돼

모든 수험생은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다만 ‘수능 후 이의 신청 대상에는 문항 오류뿐 아니라

사교육 연관 가능성이 있는 문항도 포함하기로 한 것’은

올해부터 새롭게 실시되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

이런 기사를 볼때마다 드는 생각 하나,

‘교육제’도 같은 내가 통제할 수 없는 부분에 집중하면

그 일이 수능이든 사업이든 필패한다.

내가 통제할 수 없는 부분에는 단1도 에너지를 쓰지 말고

오로지 내 노력으로 바꿀 수 있는 부분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부어야 한다.

이때 도움이 되는 글귀가 ‘니부어의 기도’ 다.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평온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꾸는 용기를

그리고 그 차이를 분별하는 지혜를 주옵소서.

올해도 우리 ‘줄서 독서실&스터디카페’ 회원들의

선전을 기대한다.

줄서 독서실 스터디카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천수로 52 . 3층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